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r (♥ 0)



파일:South Africa national rugby union team(Springboks).png
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South Africa National Rugby Union Team
별칭스프링복스 (Springboks)
소속단체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유니언
감독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라시 에라스머스 (Rassie Erasmus)
주장시야 콜리시 (Siya Kolisi)
최다 출전자빅터 맷필드 (Victor Matfield) 127회
최다 득점자퍼시 몽고메리 (Percy Montgomery) 893점
최다 트라이브라이언 하바나 (Bryan Habana) 67회
홈 구장-
첫 국제경기VS 브리티시 아일스 (0:4 패), 1891년 7월 30일
최다 점수차 승VS 우루과이 (134:3 승), 2005년 6월 11일
최다 점수차 패VS 뉴질랜드 (0:57 패), 2017년 9월 16일
럭비 월드컵8회 출전, 우승 4회(1995, 2007, 2019, 2023)
월드 럭비 랭킹최고 1위(현재) / 최저 7위(2018)
역대 전적544전 344승 24무 176패 (63.2%)[1]

1. 개요
2. 상세
3. 역대 전적
3.1. 감독별 전적
3.2. 주요 대회 성적
3.3. 국가별 상대전적
4. 개인 기록
5. 유니폼
6. 선수단




1. 개요[편집]


남아프리카 공화국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전통적으로 올블랙스에 이어 가장 강한 팀으로 여겨지며, 2023년 현 시점 세계 최강의 팀이다.


상징은 남아공에 서식하는 동물인 스프링복이 상징물로, 팀의 별명 스프링복스도 여기에서 따왔다.


2. 상세[편집]


소위 1티어라고 여겨지는 국가들[2] 중 총전적 승률이 6할대인 유일한 팀이며[3] 상대전적으로 올블랙스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 앞선다. 심지어 B&I 라이언스에게도. 뉴질랜드와 호주를 제외한 모든 1티어 국가를 상대로 60% 이상의 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럭비 월드컵에서도 4번의 결승전과 2번의 3/4위전에서 모두 승리했으며, 2회 이상의 최종전에서 진 적이 없는 유일무이한 팀이다.

2003년 세계 랭킹이 집계된 이후 743주간 1위를 유지한 뉴질랜드에 이어 196주로 가장 오랜 기간 1위를 유지한 팀이기도 하다. 여기에 2023 럭비 월드컵 8강전 승리 이후 1위로 재도약하여 200주를 돌파할 예정.


3. 역대 전적[편집]


2023년 10월 29일 기준.


3.1. 감독별 전적[편집]


이름기간총전적승률
아마추어 시대[4]1949~1995165전111승15무39패67.3%
안드레 마크그라프199613전8승5패61.5%
카를 두플레시19978전3승5패37.5%
닉 말렛1997~200038전27승11패71.1%
해리 빌리조인2000~200116전8승1무7패50%
루돌프 스트레울리2002~200323전12승11패52.2%
제이크 와이트2004~200754전36승1무17패63.2%
피터 드빌리어스2008~201148전30승18패62.5%
헤이네키 메이어2012~201548전32승2무14패66.7%
알리스터 코에치[5]2016~201725전11승2무12패44%
라시 에라스머스2018~201926전17승1무8패65.4%
자크 니에나버2020~202339전27승12패69.2%
라시 에라스머스2023~
프로 시대 평균338전211승7무120패62.4%
전체 감독 평균503전322승22무159패64.0%
2004년부터 한 분 빼고 모든 감독이 6할대의 승률을 기록했다. 뉴질랜드 이외에 이렇게 긴 시간 일관성 있게 상대팀을 가리지 않고 높은 승률을 보이는 팀은 없다.


3.2. 주요 대회 성적[편집]


럭비 월드컵
연도개최국최종 순위비고
1987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참가 제한아파르트헤이트
1991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참가 제한아파르트헤이트
1995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우승조별리그 3전 전승
1999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3위조별리그 3전 전승
4강전 vs 호주(21:27)
2003파일:호주 국기.svg 호주8강8강전 vs 뉴질랜드(9:29)
2007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우승조별리그 4전 전승
2011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8강조별리그 4전 전승
8강전 vs 호주(9:11)
2015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3위4강전 vs 뉴질랜드(18:20)
2019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우승
2023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우승
1987,1991년 대회는 아파르트헤이트로 출전을 거부당했다.
이렇게 보니 토너먼트에서 호주, 뉴질랜드 이외에 그 누구도 막지 못했다. 이젠 뉴질랜드마저 뛰어넘으며 토너먼트의 최강자가 되었다.

트라이 네이션스 (1996 ~ 2011)
참가국우승총전적승률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10회72전50승22패69.4%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3회72전29승1무42패40.3%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3회72전28승1무43패38.9%
럭비 챔피언십 (2012 ~)
참가국우승총전적승률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10회61전50승2무9패82.0%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1회61전26승5무30패42.6%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1회57전[6]28승4무25패49.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61전9승3무49패14.8%
더블 라운드 로빈인 럭비 챔피언십에서는 확연히 뉴질랜드에 밀린다. 2023년에도 20:35로 지긴 했는데, 대회 종료 후 트위크넘 스타디움에서 열린 경기에서 뉴질랜드에 35:7이라는 역사상 최악의 참패를 안겨준 바 있기 때문에 2024년부터는 어떻게 될 지 모른다.


3.3. 국가별 상대전적[편집]


상대국총전적승률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106전40승4무62패37.7%
파일:브리티시 앤드 아이리시 라이언스 로고.svg B&I 라이언스49전25승6무18패51.0%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93전50승3무40패53.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47전29승2무16패61.7%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47전29승6무12패61.77%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28전18승1무9패64.3%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3전2승1패66.7%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41전33승1무7패80.5%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29전24승5패82.8%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36전32승1무3패88.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16전15승1패93.8%
그외[7]33전33승100%


4. 개인 기록[편집]


타이틀이름포지션기록기간/시점비고
최다 출전빅터 맷필드127회2001~2015
최다 출전 주장존 스미트후커83회2003~2011
최다 트라이브라이언 하바나67회2004~2017경기당 0.54개
최다 득점퍼시 몽고메리플라이하프893점1997~2008경기당 8.75점
한 경기 최다 득점퍼시 몽고메리플라이하프35점2007vs 나미비아
한 경기 최다 트라이톤데라이 차방가6개2005vs 우루과이


5. 유니폼[편집]


전통적으로 녹색 상의와 양말, 흰색 바지에 금색 글씨를 사용한다. 교체 유니폼은 반대로 흰 상의와 양말, 녹색 바지에 금색 글씨를 사용한다. 특별한 무늬를 넣지 않고 최대한 원형에 가까운 선에서 조금씩 디자인이나 색이 바뀐다.
연도장비 제작유니폼 스폰서
1970~1991맥스모어-
1992~1996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코튼 트레이더스라이언 라거
1996~1999파일:미국 국기.svg 나이키-
2000~2003캐슬 라거
2004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캔터베리
2005~2010사솔[8]
2011~2013Absa
2014~2015파일:일본 국기.svg 아식스
2016블루 라벨 텔레콤즈
2017~MTN


6. 선수단[편집]


}}} ||
[ 펼치기 · 접기 ]
소속팀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파일:샤크스 럭비 로고.png후커봉기 음보남비Bongi Mbonambi
파일:스토머스 럭비 로고.png후커디언 푸리Deon Fourie
파일:쿠보타 스피어스 로고.png후커말컴 막스Malcolm Marx
파일:샤크스 럭비 로고.png프롭토마스 두 토이Thomas du Toit
파일:스토머스 럭비 로고.png프롭스티븐 킷쵸프Steven Kitshoff
파일:스타드 프랑세 파리 로고.png프롭빈센트 코흐Vincent Koch
파일:스토머스 럭비 로고.png프롭프란스 말허버Frans Malherbe
파일:샤크스 럭비 로고.png프롭악스 은셰Ox Nché
파일:라싱 92 로고.png프롭트레버 냐카니Trevor Nyakane
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로고.gif루드 데 예거Lood de Jager
파일:샤크스 럭비 로고.png이븐 에체베스Eben Etzebeth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제이슨 젠킨스Jason Jenkins
파일:미에 혼다 히트 로고.png프랑코 모스터트Franco Mostert
파일:스토머스 럭비 로고.png샐만 모랫Salmaan Moerat
파일:스토머스 럭비 로고.png마빈 오리Marvin Orie
파일:도요타 베어블리츠 로고.png백 로우피터스테프 두 토이Pieter-Steph du Toit
파일:샤크스 럭비 로고.png백 로우시야 콜리시Siya Kolisi주장
파일:스토머스 럭비 로고.png백 로우에반 루스Evan Roos
파일:시즈오카 블루 레브스 로고.png백 로우콰가 스미스Kwagga Smith
파일:불스 럭비 로고.png백 로우마코 반 슈타덴Marco van Staden
파일:레스터 타이거즈 로고.png백 로우야스퍼 비서Jasper Wiese
파일:요코하마 캐논 이글스 로고.jpg스크럼하프파프 드클렉Faf de Klerk
파일:샤크스 럭비 로고.png스크럼하프제이든 헨드릭스Jaden Hendrikse
파일:몽펠리에 에로 럭비 로고.png스크럼하프코버스 레이나흐Cobus Reinach
파일:스토머스 럭비 로고.png플라이하프매니 리복Manie Libbok
파일:스토머스 럭비 로고.png플라이하프대미언 윌럼스Damian Willemse
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로고.gif센터대미언 드 알렌드Damian de Allende
파일:할리퀸스 로고.png센터안드레 에스터하이젠André Esterhuizen
파일:요코하마 캐논 이글스 로고.jpg센터제시 크리엘Jesse Kriel
파일:불스 럭비 로고.png커트리 아렌스Kurt-Lee Arendse
파일:RC 툴로네 로고.png체슬린 콜비Cheslin Kolbe
파일:샤크스 럭비 로고.png마카졸 마핌피Makazole Mapimpi
파일:불스 럭비 로고.png스부 은코시Sbu Nkosi
파일:도요타 베어블리츠 로고.png풀백윌리 르 루Willie le Roux
파일:스토머스 럭비 로고.png풀백사차 음은고메줄루Sacha Mngomezulu
구단 정보
감독: 자크 니에나버 (Jacques Nienaber)
홈 구장: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8 20:11:07에 나무위키 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3년 10월 29일 기준, 출처[2] 식스 네이션스럭비 챔피언십 참가국, 그리고 일본[3] 가장 승률이 높은 뉴질랜드가 76%, 세번째로 높은 잉글랜드가 59%.[4] 1992~1994년까지 17전 5승에 불과하여 두 감독이 경질되었는데, 새로 임명된 감독이 14전 전승과 함께 월드컵 우승이라는 신화를 썼다. 그러나 월드컵 3년후 별세한다.[5] 오랜만에 찾아온 암흑기. 정말 동네북이 되나 싶을 정도로 분위기가 안좋았다. 원조 동네북 이탈리아에게 진 것도, 뉴질랜드에게 57-0으로 패배한 것도 이때다. 이 패배 이후 한 분노한 팬은 유니폼을 불태우는 것을 인증했다.(Fok you allister coetzee)[6] 2020 불참[7] 캐나다 피지 조지아 나미비아 루마니아 사모아 스페인 통가 미국 우루과이[8] 남아공의 에너지/화학 기업